0人評分過此書

조선유학의 교육철학사상 변주 Ⅰ

出版社
出版日期
2020/12/31
閱讀格式
PDF
書籍分類
學科分類
ISBN
9788949949369

本館館藏

借閱規則
當前可使用人數 30
借閱天數 14
線上看 0
借閱中 0
選擇分享方式

推薦本館採購書籍

您可以將喜歡的電子書推薦給圖書館,圖書館會參考讀者意見進行採購

讀者資料
圖書館
* 姓名
* 身分
系所
* E-mail
※ 我們會寄送一份副本至您填寫的Email中
電話
※ 電話格式為 區碼+電話號碼(ex. 0229235151)/ 手機格式為 0900111111
* 請輸入驗證碼
머리말
이 책은 조선유학을 교육학의 관점에서 정리한 것이다. 특히, 16세기 중 후반부터 17세기 초반까지 조선 중기 유학이 지닌 몇몇 특징을 교육철 학사상의 시선으로 조명하였다. 책의 제목에서 ‘변주(變奏)’라고 한 것은 음악에서 ‘어떤 주제를 바탕으로 리듬(rhythm)이나 멜로디(melody) 또는 하모니(harmony)를 변형하여 연주하듯이’, 조선유학이라는 주제에 터하여 변주하는 양상을 비춰보며 스펙트럼의 차이를 엿보았기 때문이다. 참고문헌에 제시한 것처럼, 지금까지 발표한 논문과 저서 가운데 주요 내용을 정돈하고 수정 보완하여 재구성하였다.
조선유학이라는 전문 영역을 고려하여, 성리학(性理學)의 주요 개념을 한자(漢字) 그대로 노출해 놓았고, 핵심 용어나 내용의 경우에는 중복되는 부분일지라도 반복 제시하여, 각 장별로 내용의 완결성을 갖도록 하였다. 또한 이해를 돕기 위해, 성리학의 주요 개념이나 용어는 교육학적 의미를 부여하거나 현대적 언어로 번안하였다. 필요에 따라서는 한문(漢文)의 구절이나 단락을 적절하게 자르거나 나누어서 제시하기도 하였다.
조선 중기의 유학자 가운데 훌륭한 학자가 많다. 하지만 여기에서는 교육철학사상에 의미를 부여할 만한 유학자 7명을 선정하여, 사유의 변주를 들어 보았다. 아동교육의 차원에서 다룬 소요당 박세무(逍遙堂朴世茂, 1487∼1564)를 비롯하여 성인교육 및 지도자 교육, 일반교육, 유학교육철 학사상의 심화 등에 대해 퇴계 이황(退溪李滉, 1501∼1570), 남명 조식(南冥曺植, 1501∼1572), 율곡 이이(栗谷李珥, 1536∼1584), 내암 정인홍(來庵鄭仁弘, 1535∼1623), 석탄 이신의(石灘李愼儀, 1551∼1627), 여헌 장현광(旅軒張顯光, 1554∼1637) 등이다.
퇴계 이황과 남명 조식, 그리고 율곡 이이의 경우, 다양한 영역에서 많은 연구가 진행되었으나 다른 학자들은 연구 성과가 상대적으로 적은 편이다. 특히, 교육철학사상으로 정돈한 사례는 미미하다. 퇴계와 남명, 율곡과 내암은 비슷한 시기에 출생하였으나 다른 길을 선택한 대표적 유학자이다. 동일한 성리학을 교육의 모체로 삼았으면서도, 그 실천의 양상에서 무게중심이 다르다. 철학사상의 차이가 교육행위에 반영될 때, 얼마나 엄중한가! 그 적나라한 모습이 이들에게서 발견된다. 소요당과 석탄, 여헌의 경우에도 유학교육 철학사상의 독특성이 엿보인다. 그들의 사유를 점검하면서 다른 유학자들이 강조한 교육적 특징을 검토하면, 조선유학이 지향하는 교육철학을 보다 풍부하게 확인할 수 있으리라.
여러 가지로 부족하지만, 이 책을 통해 한국교육철학사상의 지평이 확장되기를 기대한다.



입동(立冬) 무렵.



신창호
  • 머리말
  • 서언 조선 유학교육의 사상적 기초-원시유학에서 성리학까지
  • 1장 아동교육의 현실화와 구체적 양상− 소요당 박세무의「동몽선습」−
    • 1. 여는 글
    • 2. 유학의 아동교육
    • 3. 「동몽선습」의 교육과정
      • 1) 아동교육의 전체과정
      • 2) ‘서문’-인간의 존재 이유
      • 3) 오륜의 윤리교육
      • 4) 총론-효도의 근원성과 교육의 의미
      • 5) 역사교육의 중요성
    • 4. 닫는 글
  • 2장 지도자 교육의 기본 모형− 퇴계 이황의 「성학십도」−
    • 1. 여는 글
    • 2. 철학사상의 재인식
      • 1) 철학의 분류
      • 2) 「성학십도」의 사유 구조
      • 3) 「성학십도」의 철학적 분류
    • 3. 「성학십도」의 교육철학적 위상
      • 1) 전통교육사상으로서 유학
      • 2) 교육철학사상의 재구성
    • 4. 닫는 글
  • 3장 깨달음의 각성 교육−퇴계 이황의 내면 지향 학문−
    • 1. 여는 글
    • 2. ‘경(敬)’에 관한 인식
    • 3. ‘경(敬)공부’의 특징
      • 1) 단정한 몸가짐의 실천
      • 2) 자주적인 의식의 각성
      • 3) 도덕적 자아의 구현
    • 4. 닫는 글
  • 4장 내면과 외면의 조화교육 −남명 조식의 「학기유편」−
    • 1. 여는 글
    • 2. ‘경(敬)-의(義)’의 조화
    • 3. 교육의 궁극적 지향−평천하
    • 4. 닫는 글
  • 5장 일반교육의 체계화−율곡 이이의「격몽요결」과 「학교모범」−
    • 1. 여는 글
    • 2. 경계와 성찰의 개인교양−「격몽요결」
    • 3. 풍속교화와 지성인 기풍 확립−「학교모범」
    • 4. 닫는 글
  • 6장 지성인 교육의 심화−율곡 이이의「성학집요」−
    • 1. 여는 글
    • 2. 「대학」과 「성학집요」의 체제 및 내용
    • 3. 수기교육의 심화와 특징
      • 1) 교육의 맥락과 시작; ‘입지’의 열정
      • 2) 교육의 과정; ‘수렴-궁리’의 탐구
      • 3) 교육의 목적; ‘성실-교기질-양기-정심-검신’의 유기체
      • 4) 교육의 심화와 효과; 회덕량 보덕 돈박 공효
    • 4. 제가 이론과 정가의 교육실천
      • 1) 정가의 내면적 기초; 효경 형내 교자
      • 2) 정가의 외면적 구현; 친친 근엄 절검
    • 5. 치국・평천하의 정치철학
      • 1) 위정의 실천 기초; 용현 취선 식시무 법선왕 근천계
      • 2) 위정의 실제 구현; 립기강 안민 명교
    • 6. 닫는 글
  • 7장 수양교육의 사회적 실천−내암 정인홍의 실천교육 정신−
    • 1. 여는 글
    • 2. 인간적 풍모와 학문 연원
      • 1) 인간적 풍모
      • 2) 수양과 실천학의 연원
    • 3. 수양교육과 사회적 실천
      • 1) 수양교육의 이행
      • 2) 의리와 사회적 실천
    • 4. 닫는 글
  • 8장 지성인의 교육철학 확장−석탄 이신의의 「대학차록」−
    • 1. 여는 글
    • 2. 교육인간학의 재 관찰
    • 3. 인간학의 본질과 작용의 실천성
    • 4. 「전문」의 해석
    • 5. 닫는 글
  • 9장 성리학 교육의 철학사상 심화−여헌 장현광의 학문적 독특성−
    • 1. 여는 글
    • 2. 교육철학사상 형성의 기저
    • 3. 유학교육 철학사상의 재확인과 확장
      • 1) ‘성인-군주’의 자기교육
      • 2) ‘성-경’의 공부철학
      • 3) ‘분-합’의 조화교육
    • 4. 닫는 글
  • 결어 요약과 전망
  • 참고문헌
  • 찾아보기
  • 出版地 韓國
  • 語言 其他語文

評分與評論

請登入後再留言與評分
幫助
您好,請問需要甚麼幫助呢?
使用指南

客服專線:0800-000-747

服務時間:週一至週五 AM 09:00~PM 06:00

loading